멜람포디움은 보통 마지막 서리이후 모종으로 심거나 정원에 직접 씨앗을 뿌려 심습니다.
일년생으로 매우 빠르게 성장하여 씨앗부터 심더라도 6-8주 안에 개화 및 성숙기에 도달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LDC4/btrF7dMjMNx/Nq8uwBwZVKcsoV4kFgDXG1/img.jpg)
일반 이름 | 멜람포디움, 미니해바라기 |
학명 | Asteraceae |
과명 | 국화과 |
식물 종류 | 일년생 |
성숙한 크기 | 높이15~60센치, 너비 15~45센치(품종에 따라 다름) |
식재 위치 | 양지 |
토양 유형 | 건조에서 중간 정도의 수분, 잘 배수됨 |
토양 pH | 약산성~약알칼리성 |
개화 시기 | 늦봄~가을 |
꽃색 | 화이트, 옐로우/골드 |
원산지 | 중미, 남미, 북미 남부 |
![](https://blog.kakaocdn.net/dn/bnpf61/btrF9RutKi5/vbKJY50T0foVzsBkBZafAK/img.jpg)
햇빛
멜람포디움은 매일 최소 6시간정도의 햇빛이 드는 곳에서 가장 잘 자랍니다.
그늘진 조건에서는 웃자라서 쓰러질 위험이 있습니다.
토양
멜람포디움은 암석 토양이 있는 지역에서 자생하므로 영양학적으로 열악한 토양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배수가 잘되는 모든 토양에서 잘 자랍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slKJ/btrJ6Dl8C8T/RKzKzbBVYtHs0UdaqJy3Tk/img.jpg)
물
가뭄에 강하고 열에 강한 식물이긴 하지만 지나치게 가물다면 정기적으로 물을 주어야 잘 자랍니다.
그러나 과습이 되지 않도록 해야하며 토양을 약간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온도 및 습도
![](https://blog.kakaocdn.net/dn/ot2fz/btrJ9uvKwLZ/EO4f5pKFkUbTHlpqayW9s1/img.jpg)
멜람포디움은 날씨가 따뜻해져야 자라는 식물입니다. 이른 봄에 모종을 심은 경우 날씨가 따뜻하게 될 때까지 잘 자라지 않을 수 있습니다. 늦봄이 되면 잘 자라기 시작하며 일단 정착되면 가뭄에 강하고 뜨거운 온도도 쉽게 견딜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장마철에 심한 습기에 노출되면 흰가루병이 생기기 쉽습니다.
곰팡이가 자라는 것이 보이면 감염된 부위를 가지치기하여 확산을 막아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fS29/btrJ6REqZZP/nDz35Z2rKkBXnIjAgX38LK/img.jpg)
비료
멜람포디움을 사계절 내내 계속 피도록 하려면 알비료나 범용 액체 비료를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정원 토양이 비옥하다면 따로 시비하지 않아도 잘 자랍니다.
가지치기
멜라포디움은 데드헤딩이 필요없는 식물입니다.
자연 발아를 제한하는 목적으로는 시든 꽃을 잘라낼 수 있습니다.
번식
![](https://blog.kakaocdn.net/dn/xyWDS/btrJ70IUjzR/kuc6krjBGBthDXtbYmTT8K/img.jpg)
멜람포디움은 많은 일년생 식물과 마찬가지로 씨앗으로 가장 잘 번식합니다.
씨앗을 구입하거나 시든 꽃 머리에서 채종합니다.
삽목과 같은 영양 번식도 가능하지만 종자번식이 쉽기 때문에 삽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자연발아가 잘되므로 자연발아된 멜람포디움 모종을 이식하는 것도 매우 쉽습니다.
'오! 정원 > 야외정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포백합(나리) 키우기(번식방법) (0) | 2022.08.24 |
---|---|
(황금)리시마키아 키우기(번식, 생육환경,) (1) | 2022.08.24 |
삼색무궁화 키우기(접목) (0) | 2022.08.19 |
트리안키우기(노지월동) (0) | 2022.07.16 |
백합키우기(심는시기 및 방법, 이식시기, 번식방법) (0) | 2022.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