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 정원 166

(2020. 5. 11.) 원예종 핑크, 자주 클레마티스 니오베가 점점 풍성해지고 있어요.

해마다 이맘때면 하루종일 정원을 서성여도 지루하지 않습니다. 바쁘지만 않다면요~^^ 올해는 코로나19가 강제 휴가를.... 언제쯤 회복 되려나 걱정입니다. 꽃이 없었다면 더없이 우울했을지도 모를 이때 정원에서 위로를 얻습니다. 토종 큰꽃으아리는 꽃이 지니 원예종 클레마티스 들이 왕성하게 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핑크 클레마티스! 아직 절정이 아닙니다. 더 예뻐질텐데 미리부터 자랑질입니다! 새로 뻗은 가지를 망으로 유인하기가 힘들어 현관쪽으로 새로 그물망을 쳐주었습니다.진짜 꽃모양이죠? 단순한 꽃모양이 왜 이렇게 예뻐보이는거죠?반대쪽은 아직 풍성하지 않아요. 하지만 올해 신초가 많이 나왔고 계속 뻗어가고 있으니 내년을 기대해 보려고요. 이상하게 달팽이가 해마다 이쪽 클레마티스 꽃만홀딱 다 갉아 먹어서 잡아야..

철쭉 재배 방법

철쭉 재배방법 철쭉은 한국 원산의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이다. 시비법 철쭉은 뿌리가 가늘어서 화학비료를 직접 주는 것은 뿌리를 상하게 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액비 형태로 주는 것이 좋다. 4종 복합비료인 원예용 비료를 800~1200배로 희석하여 주되 한여름 고온기나 추운 겨울에는 피하고 생육기엔 월 1~2회 주는 것이 좋다. 특히 생육이 왕성한 봄~초여름까지는 주 1~2회 꼭 시비하는 것이 좋다. 생장기에는 비료를 줘도 되지만 휴면기에는 주지 않는다. 적심(순지르기) 나무 모양을 만들려면 적심을 하여 가지수를 늘려가며 모양도 만들어 줘야 한다. 꽃눈분화가 되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해줄 필요가 있으며, 최종 적심은 분식용인 경우 연내 개화를 목적으로 하였을 때 3월 하순~5월 초순까지 적심을 끝내며, ..

큰꽃으아리 개화시기

4월말부터 큰꽃으아리가 절정입니다. 4월 22일 첫 꽃을 피운 후 일주일 새 앞다투어 피고있습니다. 꽃은 전년보다 많이 피었는데 잎이 적어서 아주 무성해보이지 않습니다. 만개한 꽃모양입니다. 힘이 느껴지죠? 아래쪽 꽃잎은 벌써 축 늘어졌습니다. 갑작스럽게 더워져서 더 그런 것 같습니다. 묵은 가지를 골라 잘라내야 하는데 그게 어렵습니다. 얼키고설켜 있는 가지들 중 어느 것이 죽은 가지인지 구별이 쉽지 않아요~ㅠ.ㅠ 어제도 멀정한 아이를 잘못 잘랐어요. 묵은 가지를 그냥 놔두자니 지저분해 보여서 보이는대로 확실하게 죽은 가지만 골라 잘라내고 있습니다.같은 시기에 심었는데 이제야 몇 송이를 피운 아이도 있습니다. 죽부인을 타고 올라가도록 했더니 넘 잘 어울리네요.

정원식물, 노지월동, 야생화 싸게 살 수 있는 사이트 모음

정원을 가꾸는 사람들에게 좋은 모종을 만나는 일은 정말 행복한 일입니다. 비교적 저렴하고 튼튼한 모종이 있는 사이트를 몇 개 모아봤습니다. 1. 복남이네 야생화 주로 노지월동 가능한 야생화 꽃모종을 많이 팝니다. 농장직영인 것 같고요. 직접 기른 모종들이라 튼튼합니다. 시기별 실제 사진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복남이네야생화 토종-금꿩의다리 [4포트] (10cm포트 모종) COUPANG www.coupang.com 2. 갑조네 모종시장 갑조네 모종시장은 실내식물, 노지월동 식물 모두 갖고 있는 사이트입니다. 큰 회사인 것 같아요~ 가격은 확실히 싸고 포장도 꼼꼼하고 종류도 많습니다. 농가에서 떼다 파는 거라 식물상태는 비교적 좋은 편이지만 때때로 복불복일 때도 있습니다. 갑조네 수국 화분..

클레마티스 아치(장미아치) 만들기와 클레마티스(큰꽃으아리) 자연발아(자연번식) 모종심기

클레마티스와 장미를 위한 아치를, 정확히 이야기하자면 아치모양은 아니지만, 만들었습니다. 방부목으로 프레임을 만들고 철망을 부착하여 덩굴이 기어올라갈 수 있도록 만들었지요~ 중국산을 살까도 생각했는데~ 금방 망가질 것 같기도 하고 해서 튼튼하게 제작했지요~^^ 아치를 세울 때 가장 어려운 점은 기둥을 세울 기초가 필요하다는 거예요~ 콘크리트 기초나 기초석이 필요하니 아치 세우실 분들은 참고하세요~ 덩굴식물용 철망을 찾느라 몇 해 전에 온 인터넷을 샅샅이 뒤졌지요~ 웬만한 철망은 마음에 안들고 기존 제품은 규격도 안맞고 가격도 맘에 안들고 해서요~ 아무튼 오랜 검색의 결과로, 이런 용도로 쓰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지만, 저만의 아이디어로 근사한 덩굴식물 지지대용으로 쓸만한 망을 찾아냈고 이렇게 멋진 장미아치..

4월 중순 정원일기

할미꽃은 벌써 지고 있습니다 . 아직은 머리를 풀어 헤치지 않았네요. 하늘매발톱 꽃이 피고 있어요. 3월에 옮겨 심은 하늘매발톱은 모두 잘 살았지만 크기는 많이 작습니다. 겹작약은 폭풍성장하였습니다. 작년엔 꽃망울을 달고도 피지 못했었습니다. 올해는 꽃을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꽃망울 보이시죠? 꽃망울에서 꿀이 뚝뚝 흐릅니다. 철쭉은 대부분 만개했어요. 꽃눈 형성이 잘 안된 아이들도 꽤 있습니다. 작년 여름 가뭄 때문인 것 같아요. 수레국화도 꽃봉오리가 맺혔습니다. 자연발아가 엄청 잘돼서 뽑아내야 할 정도이지요.비비추입니다. 얼마전에 옮겨줬는데 이제 자리잡고 있네요.델피늄입니다. 성장속도가 느린 편이에요 작년에 심었어요. 디기탈리스~ 겨울에도 죽지 않고 견디고 있다 봄이 되어 다시 살아나고 있습니다...

수국재배방법

수국 ​자연상태나 온실에서의 수국은 주로 삽목에 의해서 번식이 되므로 여름철에 차 광조건에서 영양생장이 이루어진다. 수국생산에 있어 영양생장기간 동안에는 삽 수의 활착, 촉성 등에 의한 꽃받침색의 결정, 개화지 유도를 위한 분지의 유도, 초 세의 조절과 함께 마디를 짧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삽목 후 활착까지는 야 간온도 21℃이상, 주간에는 26℃이하가 유지되어야 하며 습도는 65∼85%가 유지 되어야 한다. 수국은 그 생육에 있어 일반적으로 장일조건에서는 영양생장이 촉진되고 단일조 건에서는 꽃눈분화가 촉진된다. 일장과 더불어 온도 또한 중요한 작용을 하는데, 예를 들면 높은 야간온도(21℃이상)에서는 일장이 증가됨에 따라 꽃눈분화가 더디게 된다. 반면 높은 야간온도 조건에서도 단일 상태에서는 꽃눈..

4월 8일 큰 꽃 으아리와 클레마티스 현황

여전히 언뜻 보면 마른 가지 뿐인 것 같은데 큰 꽃 으아리에 꽂봉오리가 맺혔습니다. 동글동글하고 큼직막한 것인 꽃의 크기를 짐작케 하지요? 꽃봉오리의 크기는 이게 끝이 아니에요~ 다른 꽃 눈들과 마찬가지로 점점 커지다가 마침내 꽃으로 피어난답니다. 작년보다 더 왕성하길 바랬는데 세력이 작년과 비슷한 것 같습니다. 작년 여름이 너무 더웠더래서 어떨지 지나봐야 알 것 같습니다. 땅에서 신초가 많이 올라와야 하는데 큰 꽃 으아리는 신초가 잘 안나옵니다. 오랜된 가지에서만 새싹들이 돋아나네요~ 오래된 가지 중 잎이 나오지 않는 죽은 가지들은 좀 더 있다가 4월 중순쯤 정리해 주려고 합니다. 가지들이 연약한데 마구 엉켜 있어 정리할 때도 꽤나 신경을 써야 합니다. 원예종 클레마티스의 모습입니다. 마른 가지에서 잎..

도라지 재배 방법

도라지 ​ 도라지는 기후특성상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재배할 수 있는 식물이다. 토양 부식질이 풍부하고 부드러운 땅으로 물빠짐이 좋은 식질양토(양토 중에서 점토의 함량이 27~40%, 모래의 함량이 20~45% 정도인 토양)나 사질양토가 좋으며 물빠짐이 좋지 않은 점질 토양에서는 뿌리썩음병 많이 발생한다. 직파재배법 파종시기 봄에는 3월 하순~5월 상순이 좋으며 가을은 10월 상순~11월 중순이 적기이다. 가을에 파종할 때는 겨울 동안에 싹이 트지 않도록 좀 늦게 뿌리는 것이 안전하다. 파종량은 ㎡당 200~300주 정도가 알맞으며, 10a당 3~4ℓ정도로 젖은 톱밥이나 모래를 종자량의 3~4배 정도 혼합하여 고루 뿌린다. 시비량 밑거름은 파종 15일전쯤 뿌리고, 깊이 갈아주고 추비는 6월 하순 꽃망울이 설..

버베나 재배 방법

버베나 생리생태 버베나는 마편초과(Verbenaceae)에 속하며 버베나속은 남북 아메리카 대륙에 약 200여종이 분포되어 있는 일년초 및 다년초이다. 일반적으로 버베나라고 칭하는 것은 이들간에 교잡된 원예종이며 종자번식으로 초봄에 파종하는 일년초로서 여름부터 늦가을까지 분 또는 화단 식물로 이용되고 있다. 초장은 덩굴성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30cm이상을 넘지 않는다. 잎은 진녹색을 띠고 꽃색은 진분홍색, 분홍색, 적색, 청색 및 유백색 등으로 다양한 편이나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분홍색과 적색 품종을 이용하고 있다. 보통 가을에 파종하지만 봄파종도 가능하다. 종자에는 발아억제물질이 있어 물로 씻은후 파종하는 것이 좋다. 생육 적온은 10~25℃로 비교적 서늘한 기후에서 잘 자라나 월동할 경우 동해를 받지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