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오! 정원 166

(정원에 심기좋은 꽃 추천)다양한 색깔 여름 꽃 안젤로니아 키우기

안젤로니아는 늦봄부터 가을까지 쉬지 않고 꽃을 피워 정원을 아름답게 해주는 효자 식물입니다. 덥고 습한 우리나라 여름 더위에도 번성할 수 있는 꽃이지요. 하지만 우리나라의 추운 겨울은 이겨내지 못하기 때문에 다년생이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일년생으로 취급합니다. 심는 시기 : 씨앗은 3~4월에 파종하면 되고, 모종으로 심을 땐 서리의 위험이 모두 지난 후에 심습니다. 심는 곳 : 햇빛이 많이 필요한 식물이므로 최소 6 시간의 직사광선을 받는 장소에 심는 것이 좋습니다. 심는 방법 : 심기 전에 5~ 8센티 정도의 퇴비 또는 기타 풍부한 유기물을 공급하여 섞어 줍니다. 심을 곳 땅을 갈아 부드럽고 배수가 잘되도록 만들어 주세요. 화분도 마찬가지로 퇴비와 흙을 골고루 섞고 배수가 잘되는 흙을 선택합니다. 파종 방..

대나무 키우기(꽃, 심는방법, 관리방법, 번식관리, 경계관리법)

강릉오죽헌에 대나무꽃이 피었다는 소식이 들리네요! 60년~120년에 한 번 필까 말까하는 꽃이라니 놀란만한 뉴스입니다. 정말 일생에 한 번도 보지 못할 수도 있는 꽃일 수도 있습니다. youtu.be/UI_n4VXuyDs 대나무는 아무데서나 잘 자라는 식물 중 하나입니다. 약산성의 비옥하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이 대나무 성장에 가장 좋은 조건입니다. 그러나 이런 조건은 대나무 성장의 최상의 조건일 뿐 이 중 몇 가지만 충족되어도 성장에 별 무리가 없다고 합니다. 대나무 심는 방법 대나무를 심을 곳에 대나무 뿌리 덩어리보다 두 배 넓게 구멍을 팝니다. 구멍에 대나무를 놓고 뿌리를 잘 펼쳐 줍니다. 다른 나무들을 심을 때와 같이 조심스럽게 구멍을 채우며 흙을 약간 밟아주어 뿌리가 들뜨지 않도록 합니다. 또한..

제라늄의 유래, 관리법, 삽목법

"제라늄"이라고 불리는 식물은 18 세기 초 네덜란드 상인이 남아프리카에서 가져온 식물을 말합니다. 이 새로운 식물은 유럽에서 자라는 야생 제라늄과 상당히 유사하여 식물 학자들이 실수로 유럽의 야생 제라늄과 같은 속으로 분류했다고 합니다. 1753 년 스웨덴의 식물 학자 Carl Linnaeus가 이새로운 식물을 Geranium 속으로 분류했습니다 .그러나 나중에 이 새로운 "제라늄"의 꽃잎 모양, 수술 수 및 기타 여러 요인이 유럽 제라늄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고, 그 때부터 "황새 부리"를 의미하는 Pelargonium (페라고늄)으로 재분류되었습니다. 그러나 제라늄이라는 이름이 이미 널리 퍼져 현재까지도 "pelargonium"을 여전히"geranium"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심기 제라늄은 관엽 ..

침실, 거실, 공부방 등 집안에 몇 개의 실내공기정화식물이 필요할까?

미국 환경부는 현대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5 대 요인 중 하나로 실내공기를 지목하였다. 현대인은 하루 일과 중에 90% 이상을 실내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실내공기가 실외 공기보다 현대인의 건강에 더 많은 영향을 주는 게 사실이다. 현대인들이 마시는 공기의 양을 무게로 나타내면 하루에 20~30 kg 정도나 된다고 한다. 이런 이유로 실내공기정화는 건강한 삶을 위한 현대인들의 선택이 아닌 필수라 하겠다. 실내공기정화를 하기 위해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원예식물을 통해서 보다 안정적이고 뛰어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식물의 실내공기정화 원리 첫째, 잎과 뿌리 부분의 미생물이 오염물질 흡수하여 공기정화가 이루어진다. 잎에 흡수된 일부 오염물질은 광합성의 대사산물로 이용되어 제거되고, 화분 토양 내로 흡수..

튤립 구근에 관한 모든 것(심는 법, 재배 방법)

튤립은 일년생일까? 아니면 다년생일까?튤립은 식물의 관점에서 볼 때에는 다년생 식물이지만, 수세기에 걸친 육종으로 구근의 능력이 퇴화되어 일년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매년 가을 새 구근을 심으므로 일년생으로 취급하기도 합니다. 튤립 심기좋은 장소튤립은 전체 또는 오후에 햇빛이 비치는 장소를 좋아합니다. 토양은 배수가 잘되고 중성 내지 약산성, 비옥하고 건조하거나 사질양토가 좋습니다. 튤립은 과도한 수분을 싫어합니다. 구근을 심는 간격은 10~15센치 간격이 좋습니다. 튤립 심는 시기 해당 지역의 평균 야간 기온이 5도~10도 범위에 있을 때 구근을 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강원도 등 추운 지역에서는 9 월이나 10 월에 심습니다. 제주도 및 남부 지방에서는 12 월 (또는 그 이후)에 심는 것이..

게발선인장키우기/분갈이시기/ 삽목시기/번식방법

언젠가 미용실에서 빨간 꽃이 피는 게발선인장이 신기하여 예쁘다 감탄했더니 미용사 아주머니가 한 가닥 떼어 주셨어요. 식물이 잘 자라면 서로서로 떼어 주며 인심도 팍팍 쓸 수 있고 넉넉한 사람이 되어가는 것 같아요. 그게 바로 꽃을 키우는 재미 중 하나이지요. 한 가닥이었는데 한 마디 한 마디 자랄 때마다 잘라서 늘려주었더니 작은 포트 하나가 가득 찼어요. 이제 큰 화분으로 이사갈 때가 다 된 것이지요. 개체수를 많이 늘리기 위해 마디마디 잘라줬어요. 모체들은 다 뽑아 엉킨 뿌리를 정리해 주고요. 예전에 꽂아놓은 마디 끝에 뿌리가 난 게 보이죠? 이렇게 게발 선인장은 마디를 잘라 삽목하면 뿌리가 잘 내려요. 조금 넓은 화분에 모체들과 잘라낸 마디마디를 꽂으면 삽목 끝! 참 쉽죠? 아직도 화분은 일회용 화분..

아들의 취향 십이지권 분주 및 분갈이

몇 년 전에 아들이 사다 준 십이지권에 자구가 많이 달렸어요. 분갈이와 분주를 해줬어야 하는데 여태 그냥 놔뒀네요~ㅠ.ㅠ 생명력이 엄청 강해서 포트묘여도 잘 안 죽어요. 기다란 꽃대가 나와 꽃도 잘피고~ 우리 아들은 특이하게 생긴 것들을 좋아해요. 체험학습 가서 엄마가 식물을 좋아한다고 어쩌다 다육이 포트묘 하나씩 들고 오는데 죄다 평범한 모양이 아니에요~ㅋㅋㅋ 큰 자구가 네 개나 생겨 모체만큼 커져 있어요. 역시나 너무 오랜만의 분갈이라 뿌리만 잔뜩~ 미안하다~~ 제 때 분갈이를 해줘야 뭐든 잘 큽니다. 특히 다육이들은 화분 크기에 맞게 크기 때문에 분갈이를 안 해 주면 성장이 멈추다시피 해요. 모체와 큰 자구 네 개를 분리해 줬더니 그 속에 또 애기가 붙었네! 봄, 가을 왕성하게 성장하는 철이라 좁아..

실내공기정화식물1위/ 거실대형화분/빨간 열매 나무/ 남천키우기

남 천​ 학명 Nandina domestica 생물학적 분류 계 : 식물계(Plantae) 문 : 현화식물문(Anthophyta) 강 : 쌍떡잎식물강(Dicotyledoneae) 목 : 미나리아재비목(Ranales) 과 :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속 : Nandina크기1~3m개화시기6월~7월수확시기10월분포지한국, 일본, 중국, 인도꽃말전화위복 특징 ​ 수고 1~3m 정도로 자라며 흔히 밑에서 줄기가 여러 가지로 갈라진다. 어긋나게 달리는 잎은 3회우상복엽으로 겨울철에 홍색으로 변한다. 작은잎은 끝이 좁은 타원상 피침형으로 잎자루가 없으며 혁질이다. 양성화인 꽃은 6~7월에 가지 끝에 흰색의 원추화서로 달린다. 꽃잎은 6개, 수술 6개, 1개의 암술대가 있다. 장과인 열매는 10월에 구형..

장미병충해- 장미잎이 누렇고 검게 변하는 검은무늬병 방제 방법

장미 - 검은무늬병 저희 집 장미에 검은무늬병이 생겼습니다. 장미는 병도 많고 진딧물도 잘 끼는 것 같아요. 그때 그때 방제를 해 주어야 건강하고 예쁜 장미를 볼 수 있습니다. 장미의 검은무늬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농진청 자료를 발췌하여 작성하였습니다. 피해증상 주로 노지에서 재배하는 장미에서 장마철이 지나고 나서 덩굴장미와 정원용 장미의 잎에 심하게 발생하여 낙엽을 만든다. 잎, 잎자루, 줄기 등에 발생한다. 잎에는 자갈색의 작은 얼룩반점이 생기다가 차츰 그 병반이 커지고 흑갈색으로 변한 후 병반의 주위는 황색으로 되고 병반 안쪽에는 검고 작은 알맹이 모양이 많이 생긴다. 병반은 물방울이 고이기 쉬운 부분의 잎에 주로 발생한다. 잎자루에도 같은 피해가 발생하며 쉽게 낙엽 된다. 가지에 발병하면 비슷..

금낭화 키우기 (재배 방법)

금낭화 금낭화(Dicentra spectabilis(L) LEM.)는 현호색과에 속하는 다년초로써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 전북 완주, 강원 산간지 반 그늘진 곳, 계곡 주변에 자생한다. 세계적으로는 아시아와 북미지역에 20종 이상이 분포하고 있는데 종에 따라 꽃 모양이나 초형이 상당히 다르다. 일년생인 것도 있지만 대부분 다년생으로 주로 산악지역의 숲 속에 습기가 충분한 곳에 집중적으로 자생한다. 번식 번식은 종자번식 및 영양번식 모두 가능하지만 종자번식시 발아율이 낮고 성묘생산에 장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주로 영양번식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영양번식 금낭화의 줄기삽은 5월 개화 직전에 마디를 두개 이상씩 붙여 삽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관행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번식방법은 근경번식이다. 뿌리는 직..

728x90
반응형